백준 1874 - 스택수열 (C++풀이)
백준 1874 - 스택수열 (C++풀이)
📌 백준 1874번: 스택 수열 (C++ 풀이)
✅ 문제 요약
스택은 LIFO(Last In First Out) 구조로, 나중에 들어간 게 먼저 나오는 구조다.
이 문제는 1부터 N까지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push하면서,
임의의 수열이 만들어질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,
가능하면 push(+), pop(-) 연산 순서를 출력해야 한다.
예시: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입력
8
4
3
6
8
7
5
2
1
출력
+
+
+
+
-
-
+
+
-
+
+
-
-
-
-
-
📌 문제 조건 핵심
- 숫자는 무조건 1부터 N까지 오름차순으로만 push 가능
- 필요한 숫자가 나올 때까지 계속 push
- 나오면 pop, 아니라면 “NO” 출력하고 끝내야 함
🧠 내가 처음에 틀렸던 이유
처음에는 걍 스택 상태를 하나하나 계산하면서,
“지금 스택에서 이 숫자 pop할 수 있냐?” 를 무식하게 따지려고 했음.
근데 이 방식은 오름차순 push 조건을 제대로 안 활용해서
로직이 지저분해지고 예외 케이스 막히더라.
💡 핵심 아이디어
“다음으로 push할 숫자(next)를 추적하면서,
그 수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push하고
스택 top이 원하는 숫자랑 맞으면 pop”
이 흐름만 정확히 구현하면 됨.
✅ 정답 코드 (C++)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ack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
{
int n, next = 1;
cin >> n;
stack<int> s;
vector<char> calc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int find;
cin >> find;
// push 해야 할 숫자 도달할 때까지 push
while (next <= find) {
s.push(next++);
calc.push_back('+');
}
// 스택 top이 원하는 숫자면 pop
if (s.top() == find) {
s.pop();
calc.push_back('-');
}
else {
cout << "NO";
return 0;
}
}
for (char c : calc) {
cout << c << '\n';
}
return 0;
}
🗒 회고
처음에 그냥 아무 생각 없이 구현하다가 “스택을 연산처럼 직접 시뮬레이션” 하려다 개삽질함.
결국 조건을 잘 읽고, 순차적으로 push해야 한다는 점에서
next
라는 추적 변수를 도입하는 게 핵심이었음.
✍ 마무리
이 문제 덕분에 “무지성 구현” 습관에서 조금은 벗어날 수 있었던 듯.
앞으로도 그냥 구현부터 달리지 말고,
조건에서 뭘 활용할 수 있을지를 먼저 파악하자.
#스택
#자료구조
#중급
#복습필요
#C++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